참여/소식
국유정담

양력 5월 5일은 어린이날이다. 음력 5월 5일 역시 어린이날처럼 따로 이름이 있다. 바로 단오端午다. 어린이날이 근대에 들어 생긴 것과는 다르게 단오는 우리 고유의 명절로 아주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다. 단오란 초닷새라는 뜻을 가진 말로 다른 이름으로는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五節, 수리戌衣, 수릿날 등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예부터 우리나라에서는 홀수가 같은 숫자로 겹치는 날1월 1일,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 등을 상서로운 날로 여겨 명절로 정해 왔다.
단오인 음력 5월 5일은 그중에서도 특히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고 여겨져 신라·가야 시대 이래로 우리의 큰 명절이 돼왔다. 큰 명절인 만큼 단오에는 다양한 풍속이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창포물에 머리 감기다. 단옷날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에 윤기가 흐르며 탈모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해서 여인들에게 인기가 좋은 풍속이었다.
그 밖에도 익모초와 쑥 캐기, 천중부적귀신 쫓는 부적 만들어 붙이기, 쑥호랑이 만들어 지니기, 단오부채 선물하기, 대추나무 시
집보내기 등 다양한 풍속이 있었다. 여기에서는 대추나무 시집보내기만 살펴본다. 대추나무 시집보내기는 농가에서 대추의 풍년
을 기원하기 위해 행해지던 풍속이다.
단옷날 오시午時에 대추나무를 시집보내면 대추가 많이 열린다고 해서 대추나무 가지 사이에 돌을 끼워 넣곤 했다. 혼인을 해야 자식을 낳을 수 있기에 나무도 시집을 보내야 과실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단오에 행해진 놀이는 남자와 여자의 놀
이로 나뉜다. 여자들은 그네를 뛰고, 남자들은 씨름을 했다. 그네뛰기와 씨름은 단오가 더 이상 명절로 여겨지지 않는 현대에도
널리 행해지고 있는 놀이다. 먼저 그네뛰기는 다들 알다시피 큰나뭇가지에 굵게 꼰 동아줄이나 밧줄을 걸어 만든 그네에 올라
노는 것이다.
여자들의 외출이 제한적이었던 시대에도 단옷날만은 집에서 나와 여자들끼리 모여 그네를 뛰는 것이 허용됐다. 흔치 않은 외
출의 기회였기 때문에 당연히 즐거울 수밖에 없었다. 저마다 곱게 한복을 차려입고 그네를 뛰는 모습은 한 폭의 그림에 비할 바였을 것이다. 남자들도 여자들처럼 단옷날 함께 모여 놀았는데, 이때 행해진 놀이가 씨름이다. 농경사회에서 남성성을 과시할 수 있는 씨름에서 이기는 것은 단순히 놀이를 이기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졌을 것이다. 이 때문에 단옷날 씨름에서 승리한 사람은 농사에 꼭 필요한 황소 한 마리를 받곤 했다.
참고문헌. <우리문화2 세시풍속>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편